템플릿 코드 살펴보기 프로젝트 템플릿을 설치 했고, VSCode를 위한 확장 프로그램도 잘 설정을 완료해서 이제 실행 및 디버깅까지 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럼, 이제 코드가 어떻게 생겼는지 한번 살펴볼 차례다. 폴더 구조 위와 같이 루트에 Cargo.toml 이 있고, src 폴더에 lib.rs, game.rs 파일이 있고, tests 폴더에 기본으로 생성된 gd_test_main.rs 파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Cargo.toml 기본으로 패키지 정보와 라이브러리 그리고 의존관계가 있는 라이브러리 정보가 들어 있다. 잘 봐야 하는 부분은 의존성 부분인데, gdnative 버젼이 "0.9.3"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깃헙 에 있는 프로젝트 readme.md 파일에 있는 Engine compatibility를 보면 Godot 3.2 버젼부터 모든 릴리즈된 마이너 버젼과 호환성을 유지한다고 되어 있고, Godot 3.4 버젼은 별다른 설정없이 사용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하지만 아래쪽 Usage 항목을 보면 최신 마스터 버젼과 Godot 3.4버젼을 사용하는 것 을 권장 하고 있으며, 이 때 의존성 항목에서 gdnative 의 벼전을 지정하는 대신 아래와 같이 git 주소를 적는 것으로 대신하면 된다. 앞선 템플릿에 적혀있는대로 사용하는 것은 Godot 3.2.3-stable 버젼을 사용할 때만 유용하다. 즉, Godot을 최신버젼으로 사용하려면 gdnative 버젼을 명시하는 대신 git 주소를 사용하고, 좀 더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gdnative 버젼을 0.9.3으로 명시하고, Godot 엔진의 버젼도 3.2.3-stable 버젼을 사용하면 된다. lib.rs 우선, main.rs 대신 lib.rs가 있으므로 이 rust 프로젝트가 라이브러리 프로젝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는 일을 보면, 11라인에서 godot_init! 매크로를 통해 init 함수를 넘겨주고있다. 이 init함수...
내가 작성하거나 배워본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록을 해 봅니다. 현재는, Godot engine, Godot-rust, Rust, C# 등에 대한 팁 및 학습 기록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