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ot-rust-vscode 확장 프로그램 설정
이제 VSCode에서 Rust Project를 어떻게 열어야 할지 살펴보자. 어느 폴더에서 프로젝트를 열어야 할지는 개발자 마음대로 해도 된다. 하지만, 이미 앞에서 godot-rust-vscode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 했으니 이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편한 상태로 프로젝트를 여는 것이 좋을 것 이다.
godot-rust-vscode 확장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루트 폴더에서 VSCode를 실행시키는 것이 아닌 root아래에있는 rust폴더에서 VSCode를 실행시키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므로, rust 폴더로 이동 후 VSCode를 실행 시킨다.
godot-rust-vscode 환경 설정
VSCode가 열리면 확장 프로그램의 환경 설정이 필요하다. 우선, ctl+. 를 눌러서 설정 화면으로 진입한 후, 설정 검색란에 godot-rust 라고 입력하여 관련 설정만 나타나게 한다.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다섯가지 설정만 나타나게 되는데 각각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godot-rust-vscode 확장 프로그램의 설정화면
하나씩 살펴보자.- Target Platform
이 프로젝트가 어떤 타겟을 대상으로 빌드될지 선택하면 된다. 나는 개발중엔 컴퓨터에서 로컬 빌드를 하면서 진행 할 것 이기 때문에 x86_64-unknown-linux-gnu를 선택 했다. 각자 자신이 원하는 타겟을 설정하면 된다. - Target Platform Custom
위의 옵션에서 custom을 선택했을 경우 여기에 custom target을 적으면 된다. - Godot Editor Path
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godot 엔진의 실행파일의 위치와 실행파일명까지 적으면 된다. 내 경우는 환경변수 GODOT_HOME에 godot실행파일의 위치가 들어 있어서, 환경변수를 이용해서 설정했다. 각자 자신이 어느 폴더에 godot파일을 저장해 놓고 사용하는지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 Godot Project Path
현재 열려있는 rust 프로젝트와 나란히 있는 godot 프로젝트 파일이 위치한 폴더다. workspaceFolder 에서 상위로 이동 후 godot 폴더를 가리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Makefile Path
makefile이 있는 프로젝트 템플릿 루트 폴더를 가르키면 된다. workspaceFolder에서 한단계 상위로 이동한 폴더가 지정되어 있은 것을 볼 수 있다.
Project file 생성
이제 환경설정이 됐으니 관련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ctl+shift+p 를 눌러 VSCode의 명령어 입력창을 연 후 godot-rust 라고 입력해 보자.
godot-rust-vscde 확장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프로젝트 파일 생성 명령
위의 그림처럼 godot-rust: Generate Project Files 라는 메뉴가 나타난다. 이 메뉴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launch.json, tasks.json을 적절하게 만들어 준다. 잘 만들어 졌는지 확인하려면, ctl+p 를 누른 후, launch.json 혹은 tasks.json 이라고 입력해서 해당 파일을 열어 보자.다음과 같이 파일이 작성된 것이 보인다면 정상적으로 프로젝트 파일이 생성 된 것 이다.
위 파일은 launch.json이다. "Debug Game", "Release Game", "Attach to Game" 에 대한 설정이 잘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각각 디버깅, 배포 빌드, 다른 프로세스에 attach 하는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위 파일은 tasks.json이다. VSCode에서 Run Tasks를 통해 직접 실행시키거나, 다른 task에서 실행 할 수 있는 작업모음이다. 위에 있는 launch.json에서도 이 task에 있는 "godot-rust: Build Debug"를 먼저 실행 시키고 lldb를 이용해 디버깅을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godot-rust:"로 시작되는 다섯가지 task가 잘 생성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행 및 디버깅
이제 실행 할 준비가 다 됐으니 실행만 해 보면 된다. 디버그 메뉴를 열고 "실행 및 디버그" 선택창에서 "Debug Game"을 선택 한 후 실행 시켜보자. 간단하게 F5를 눌러도 된다. 잘 실행이 된다면, 마지막으로 브레이크 포인트가 잘 설정되는지 확인해 보자.
game.rs 파일을 열고, _process 함수의 내부에서 게속 메세지를 찍고 있는 44라인 godot_print! 문에 브레이크 포인트를 설정해 보자. 브레이크 포인트를 설정하는 방법은, 에디터의 라인넘버 왼쪽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작은 점이 생기는데, 이때 클릭 하면 된다. 붉은 점이 생겼으면 이제 다시 F5를 눌러 디버깅을 시작 해 보자. 게임 실행창이 생겼다가 브레이크 포인트에 멈추면서 VSCode가 포그라운드로 나오면서 아까 브레이크 포인트를 설정한 44라인에 멈춰 있고, 왼쪽 파일탐색기가 있던 곳에 변수, call stack등이 보인다면 브레이크 포인트까지 잘 설정 된 것 이다.
debugger 화면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