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GDNative와 여러가지 언어들

GDNative와 여러가지 언어들

Godot 엔진에서 Node들의 동작을 프로그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몇가지 기본언어를 지원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GDScript라는 python과 비슷한 문법을 가지는 자체제작된 스크립트와 C# 이다. 이 두가지 외에  GUI만으로도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한 Visual Script도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도 native 언어로 작성된 라이브러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도 제공되고 있는데, 그게 바로 GDNative라는 것 이다. GDNative는 Godot 엔진이 외부 shared library와 상호 작용해서 외부 라이브러리의 함수를 호출하거나, 외부 라이브러리에서 Godot 엔진의 GDNative API를 호출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GDNative는 기본적으로 C와 C++ binding용 헤더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C/C++ 외에도 이 언어들과 binding 할 수 있는 다른 언어들도 GDNative를 통해 Godot 엔진과 binding되어 개발할 수 있게 되는 것 이다.

GDNative를 통해 여러가지 언어들로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들이 존재하는데, 몇가지 언어를 소개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현재는 GDNative에서 GDExtension으로 이름을 바꿔서 다음 버전 개발을 하고 있다고 Godot 블로그에서 소개를 한 상황인데, 새로운 버젼이 나오면 각 언어 바인딩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버전에 맞게 적용되면 사용이 가능할 것 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Dodge The Creep - [1]

Dodge The Creep - [1] 환경 설정 Godot 공식 문서에 나와있는 2D 튜토리얼인 Dodge The Creep 게임을 Rust를 이용해서 따라 만들어 보자. 템플릿 복사 및 실행 우선 프로젝트 셋업을 해야 한다. 이 부분은 Rust를 이용한다고 해도 크게 바뀌는 부분은 없다. 하지만, GDScript를 이용한다면, Godot Editor를 이용해서 처음부터 하면 되겠지만, Rust를 이용하기 때문에 우선 cargo를 이용해 기본 프로젝트 template를 만들고 난 후, 생성된 godot 폴더에서 프로젝트 설정을 수정하도록 한다. $ cargo generate  - - git https: / / github.com / godot - rust / godot - rust - template  - - name dodge - the - creep - rust $ cd dodge-the-creep-rust $ cargo make run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위 명령들을 하나씩 살펴보면, cargo generate 를 이용해서 기본 템플릿을 이용한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한다. 만들어진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cargo make run  명령을 이용해 빌드 및 실행 cargo generate   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생성했을 때, 기존 템플릿은 make를 이용했기 때문에, gdnative 문서 페이지를 보면  make run   으로 빌드 및 실행 명령어가 안내되어 있지만, 최근 cargo build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변경 이 되어서 이제는 cargo make run  을 이용해서 실행해야 빌드 및 실행이 적절하게 동작 한다. 기존에는 비어있는 화면 이었는데, 최근 커밋 에는 기본으로 spinning cube 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어서 최신 소스 기반으로 실행을 한다면 아래의 하면을...

Godot-Rust 게임 아키텍처

이 글은 The godot-rust Book 의 Game architecture 에 나온 내용을 다시 정리한 내용이다. godot-rust는 사용자에게 많은 자유를 주고 있기 때문에 어떤 패턴을 강요하지 않는다. GDScript나 Rust를 얼마나 많이 사용할 지는 순전히 사용자에게 달려 있다. GDScript와 Rust 의 장단점 비교 GDScrip 장점: 고도 에디터와 잘 통합되어 있어 빠른 프로토타이핑이 가능하다. 단점: 타입 시스템이 제한적이고 리펙터링은 수동으로 해야 한다. 종속성 관리가 없다. Rust 장점: 성숙한 도구와 에코시스템에 기반한 타입 안정성, 성능, 확정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단점: 언어가 좀 더 복잡하고 제약이 강하며, Godot과 연관된 부분은 장황해 지는 경향이 있다. 즉, GDScript는 Godot엔진과 잘 통합되어 있고 쉽고 빠른 코드작성이 가능한 반면, 타입 안정성 부족으로 인해 코드의 규모가 커진 경우 안정적인 관리가 어렵고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다음은 Godot 엔진에 Rust를 사용하는 방법들에 대한 몇가지 예시들 이다. Godot game + Rust module 이구조는 대부분의 게임은 Godot engine과 GDScript로 만들고 일부 모둘만 Rust를 사용해 개발 하는 방법이다. Rust로 개발할 만한 부분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GDScript가 충분히 빠르지 않은데, 해당 코드가 성능에 민감한 경우. pathfinding, AI, 물리 관련과 같은 Rust기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GDScript로는 관리하기 어려운 매우 복잡한 코드블럭이 있는 경우. 이런 경우들에서는 딱 원하는 만큼만 Rust를 이용해 작성할 수 있다. godot-rust 는 필요한 만큼만 GDScript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Rust 코드에서 Godot 코드를 호출하는 경우는 없는 경우다. 이런 경우 장단 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 Godot 코드가 이미 있는 경우, 시작하기 쉽다....

템플릿 설치하고 살펴보기

템플릿 설치하고 살펴보기 이제 필요한 도구들은 다 설치를 했으니, 잘 동작하는지 확인을 해 볼 차례다. 우선, 터미널을 열고 다음과 같이 임력해서 cargo-generate를 이용해 기본적인 프로젝트 템플릿을 만들어보자. 제대로 템플릿이 만들어 졌다면, 다음과 같은 폴더 구조로 되어 있을 것을 확인 해 볼 수 있다. 폴더들과 그 안에 들어있는 내용을 살펴보자. . /(root) 우선 최상위 폴더에 Cargo.toml 파일과 Makefile이 위치해 있다. Cargo.toml 파일은 단지 하위 rust 폴더를 작업공간으로 하고, godot폴더를 작업공간에서 제외 시키고 있다. Makefile은 각종 빌드명령들이 정의되어 있다. 쭉 살펴보면, 아래쪽에 run 명령어가 보일 것 이다.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설정이 되어 있을텐데, 내 경우엔 build-x86_64-unknown-linux-gnu-debug 명령을 실행 한 후, dogot 엔진을 실행시키고 있다. 이 build-x86_64-unknown-linux-gnu-debug 명령도 위에서 찾아보면, cargo build로 build를 하고난 후 결과로 나온 라이브러리 파일을 lib 폴더에 옮겨놓는 작업을 하고 있다. 간단히 다시 정리해 보면, make run을 실행해서 rust로 작성된 파일을 build해서 lib 폴더에 옮겨놓고 godot 엔진을 실행 시켜서 내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 시킬 수 있다. bin 컴파일된 결과(*.so)가 target 시스템에 따라 저장되는 곳 이다. rust cargo build 를 통해 library file이 생성되면 이곳에 저장이 된다. godot godot project 가 위치한 곳 이다. project.godot 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곳을 지정해서 godot engine을 실행하면 작성한 프로젝트가 실행 되게 된다. lib godot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컴파일된 rust 프로젝트의 결과(*.so)가 복사되는 곳 이다. 이 곳 역시 어떤 target으로 컴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