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ot-Rust 개발환경 설정
우선은 개발환경을 설치해 보면서 하나씩 배워보면 좋을 것 이다. 공식 홈페이지에 Godot과 Rust개발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이 자세히 나와있으니 각각 따라서 잘 설치하면 되지만, Godot과 Rust를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해 다시 정리해 본다.
앞선 게시물에서 Godot에서 C/C++ 바인딩을 위해 GDNative와 헤더를 제공한다고 적었는데, 이를 통해 Rust도 Godot과 바인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직접 GDNative와 바인딩 하는 것을 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 godot-rust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안정적으로 바인딩된 상태이므로 이 프로젝트를 사용하면 다시 바인딩 할 필요없이 제공되는 gdnative crate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Rust를 이용해 Godot 개발을 할 수 있다.
Godot Engine
- Godot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자신의 OS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받아서 적절한 폴더(예들들어, ~/Godot/)를 만들고 집어 넣는다.
- 어느곳 에서도 실행 할 수 있도록, 환경변수에 path를 설정한다.
- The godot-rust Book 페이지에는 3.2.3-stable을 지원하고 있다고 되어 있는데, 이는 cargo의 dependency에 gdnative crate 버젼을 0.9.3 으로 명시했을때고, 그렇지 않고 github의 주소를 적으면, 3.4.2 (이 글을 작성하는 최신버전) 까지도 문제없이 동작한다.
Rust
- rustup 을 방문하면, rust 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설치 이미지를 통해 Rust toolcahin을 설치 할 수 있다. (Ubuntu인 경우 curl 을 통해 받아서 설치됨)
- 설치 후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통해 잘 설치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LLVM
- godot-rust 는 LLVM에 기반한 bindgen을 기반해 바인딩 되어 있기 때문에, LLVM 바이너리를 설치해야 한다.
- 설치 후 다음 명령을 통해 설치가 잘 되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템플릿 사용
godot-rust 프로젝트에서 godot 프로젝트와 rust 프로젝트 의 폴더 구조 및 보일러플레이트 코드가 설정된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다. 이 템플릿을 사용하려면 cargo 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설치 하면 된다. 사용해 본 바로는 아직 개발중 이라고 하지만 기본 틀을 잡아주니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좋았다.
VSCode 확장 설치
- Rust를 위한 확장
Rust를 위해서 Rust 혹은 rust-analyer 를 설치한다. 앞의 것은 공식 확장이고, 뒤의 것은 비 공식 확장인데 취향에 따라 설치해서 사용하면 된다.
- godot-rust 를 위한 확장
godot-rust-vscode 가 있는데, 꼭 설치할 필요는 없지만, 설치하면 실행 및 디버깅등에 필요한 설정들을 쉽게 할 수 있다.
- Debugging을 위한 확장
CodeLLDB 를 설치한다. 디버깅을 할 때 사용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