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릿 설치하고 살펴보기 이제 필요한 도구들은 다 설치를 했으니, 잘 동작하는지 확인을 해 볼 차례다. 우선, 터미널을 열고 다음과 같이 임력해서 cargo-generate를 이용해 기본적인 프로젝트 템플릿을 만들어보자. 제대로 템플릿이 만들어 졌다면, 다음과 같은 폴더 구조로 되어 있을 것을 확인 해 볼 수 있다. 폴더들과 그 안에 들어있는 내용을 살펴보자. . /(root) 우선 최상위 폴더에 Cargo.toml 파일과 Makefile이 위치해 있다. Cargo.toml 파일은 단지 하위 rust 폴더를 작업공간으로 하고, godot폴더를 작업공간에서 제외 시키고 있다. Makefile은 각종 빌드명령들이 정의되어 있다. 쭉 살펴보면, 아래쪽에 run 명령어가 보일 것 이다.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설정이 되어 있을텐데, 내 경우엔 build-x86_64-unknown-linux-gnu-debug 명령을 실행 한 후, dogot 엔진을 실행시키고 있다. 이 build-x86_64-unknown-linux-gnu-debug 명령도 위에서 찾아보면, cargo build로 build를 하고난 후 결과로 나온 라이브러리 파일을 lib 폴더에 옮겨놓는 작업을 하고 있다. 간단히 다시 정리해 보면, make run을 실행해서 rust로 작성된 파일을 build해서 lib 폴더에 옮겨놓고 godot 엔진을 실행 시켜서 내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 시킬 수 있다. bin 컴파일된 결과(*.so)가 target 시스템에 따라 저장되는 곳 이다. rust cargo build 를 통해 library file이 생성되면 이곳에 저장이 된다. godot godot project 가 위치한 곳 이다. project.godot 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곳을 지정해서 godot engine을 실행하면 작성한 프로젝트가 실행 되게 된다. lib godot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컴파일된 rust 프로젝트의 결과(*.so)가 복사되는 곳 이다. 이 곳 역시 어떤 target으로 컴파...
댓글
댓글 쓰기